eks (1)
kubectl 설치
curl -O https://s3.us-west-2.amazonaws.com/amazon-eks/1.29.0/2024-01-04/bin/linux/amd64/kubectl
chmod +x ./kubectl
mkdir -p $HOME/bin && cp ./kubectl $HOME/bin/kubectl && export PATH=$HOME/bin:$PATH
eks 권한을 가진 유저 생성
access_id, access_secret 방식이 싫지만 별 방법이 없어서 생성시킨 후 ec2 내에서 aws configure를 함.
eksClusterRole 생성
eks cluster 생성
- 부트스트랩 클러스터 관리자 엑세스
클러스터 관리자 엑세스 허용 안 함
- 클러스터 인증 모드
eks API 및 ConfigMap
기본적으로 운영단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private으로 선택한다. 이걸 보면서 개발자 용 베스쳔 서버가 있겠는데? 라고 생각을 했다. 바로 어떤식으로 하는지 찾아서 클러스터의 추가 보안그룹에 ec2의 ip주소를 넣었으며 연결이 잘 됬다. (private ip넣어야 함)
기타 (KMS 설정)
https://docs.aws.amazon.com/kms/latest/developerguide/key-types.html#symm-asymm-choose 여기에 키 선택 유형에 대한 내용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대칭키를 쓰라고 해놓았다. 비대칭 키는 퍼블릭 키와 개인 키가 있는데 이 방식을 어디서 봤나 했더니 애플 인증인가를 해볼 경우가 있었는데 그 때 본 개념이였다. 내부에서 쓸껀데 퍼블릭 키가 의미가 있는가? 대칭키로 하자.
참고 링크
https://devocean.sk.com/blog/techBoardDetail.do?ID=164583
안전한 EKS 구축하기
devocean.sk.com
https://docs.aws.amazon.com/ko_kr/eks/latest/userguide/install-kubectl.html
kubectl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mazon EKS
Amazon EKS 클러스터 제어 영역과 마이너 버전이 하나 다른 kubectl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28 kubectl 클라이언트는 Kubernetes 1.27, 1.28, 1.29 클러스터와 함께 작동합니다.
docs.aws.amazon.com
https://docs.aws.amazon.com/eks/latest/userguide/service_IAM_rol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