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parameter store - 1infra 2023. 3. 4. 23:29
보통 spring을 올릴 때 민감한 정보 즉 설정 파일을 관리하게 된다. 스프링 부트는 클라우드 쪽에서 제공하는 모듈이 있는데 spring cloud config이다.
이 모듈은 장점이 많은데 일단 서비스를 중지하지 않고 설정파일의 내용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다른 s3, 데이터 베이스 등등과 연계가 가능하다.
다만 단점은 이것 자체가 하나의 서비스로써 띄워져야한다는 것이다.
보통의경우 설정파일의 내용을 서비스를 중지하지 않고 바꿀일이 있을까? 라고 생각해보면 글쎄 물론 좋은서비스지만 서비스를 띄워야하므로써 작은 서비스는 단점이 좀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것을 대체할 경량화 하는 방법이 aws parameter store이다
오늘 남길 기록은 파라미터 스토어에 대한 내용이다. 일단 이전에 만들어 놓은 테라폼 모듈에 추가 할 것이 있다 ec2역할에 parameter store이것의 상위 개념의 역할 정책을 추가합니다
resource "aws_iam_role_policy_attachment" "dev-resources-ssm-policy" { role = aws_iam_role.ecs_agent.name policy_arn = "arn:aws:iam::aws:policy/AmazonSSMFullAccess" }
파라미터 설정입니다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게 된 이유 (0) 2024.04.18 aws parameter store - 2 (스프링 부트) (0) 2023.03.05 github actions, ecs, ecr을 이용한 CI/CD - 3 (0) 2023.02.26 github actions, ecs, ecr을 이용한 CI/CD - 1 (0) 2023.02.25 aws 기초 네트워크 설정하기 - 2 (0) 202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