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github actions, ecs, ecr을 이용한 CI/CD - 3infra 2023. 2. 26. 16:27
ecs 설정 클러스터를 먼저 생성 해준다 이것을 테라폼으로 표현 해볼예정이다 ecs 클러스터 생성이다 resource "aws_ecs_cluster_capacity_providers" "aws_ecs_cluster_cps" { cluster_name = aws_ecs_cluster.jhc_cluster.name capacity_providers = [aws_ecs_capacity_provider.jhc-ecs-cp.name] default_capacity_provider_strategy { base = 1 weight = 100 capacity_provider = aws_ecs_capacity_provider.jhc-ecs-cp.name } } resource "aws_ecs_capacity_provid..
-
github actions, ecs, ecr을 이용한 CI/CD - 2카테고리 없음 2023. 2. 26. 13:54
ecr 설정 이렇게 하면 생성이 된다 다른 작업은 안해도 괜찮은게 어차피 github actions에서 build를 해준다 terraform script resource "aws_ecr_repository" "ecr_repo" { name = var.ecr_repo } output "springApp-repo-URL" { value = aws_ecr_repository.ecr_repo.repository_url } github actions에서 docker 빌드 하는 부분 - name: Build, tag, and push image to Amazon ECR id: build-image env: ECR_REGISTRY: ${{ steps.login-ecr.outputs.registry }} IMAGE_T..
-
github actions, ecs, ecr을 이용한 CI/CD - 1infra 2023. 2. 25. 19:34
github actions는 따로 어려운 점이 없어서 스크립트만 올리고 넘어갑니다 전 다른 CI 툴보다 github actions를 더 좋아하는데 이유는 github에서 관리할 수 있는 점, 다른 설치가 필요 없다는 점 때문에 좋아합니다. - github actions script name: eureka on: workflow_dispatch: inputs: tags: description: required: false env: ECR_REPOSITORY: spring_boot_ecr ECS_SERVICE: test-dev-service ECS_CLUSTER: test-dev-ecs-cluster MODULE_ROOT_PATH: ./jinheung_eureka # 해당 모듈의 루트 MODULE_JAR: ..
-
스프링 멀티모듈 및 gradle 설정spring 2023. 2. 24. 11:49
기본적으로 스프링 멀티 모듈 구성할 때 가장 베이스로 나누는 것은 3가지라고 생각한다 api 모듈 : RestController를 중심으로 한 api 모듈 view 모듈 : Controller를 중심으로 한 view 모듈 (react와 같은경우 분리해서 없는 경우도 있다) core 모듈 : 핵심 코어 (mysql 등) 을 모은 코어 모듈 주로 아래와 같이 설정하게 된다 project(":jinheung_mall_api")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project(':jinheung_mall_core') } } project(":jinheung_mall_view")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project(':jinheung_mall_core')..
-
aws 기초 네트워크 설정하기 - 2infra 2023. 2. 21. 17:57
aws에서 vpc 관련 설정을 설정 할 때 스크린 샷이다 요즘엔 이런 ui가 잘 되어 있어서 바로 클릭해서 만들 수 있는게 편하다 이제부터가 본론인데 이런 내용은 쉬운데 왜 스샷을 찍어서 올리느냐이다 위의 콘솔내용을 비교하면서 terraform에 적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내용도 terraform 코드가 동봉 될 것이며 1달전 부터 공부한 내용들이 들어갈 것이다 시작해보자 일단 vpc를 만들기 위한 변수들을 설정한다. variable "aws_region" { type = string default = "ap-northeast-2" } variable "app_name" { type = string description = "Application Name" } variable "app_environ..
-
querydsl 문제 해결 - 2023-02-16querydsl 2023. 2. 21. 16:21
초기 버전의 쿼리 QClickAggregate qClickAggregate = QClickAggregate.clickAggregate; QProduct qProduct = QProduct.product; QBrand qBrand = QBrand.brand; QProductCategory qProductCategory = QProductCategory.productCategory; QCategory qCategory = QCategory.category; JPAQuery query = jpaQueryFactory.select(new QProductClickCountDTO( qProduct.id, qProduct.thumbnailImageUrl, qProduct.nameEn, qProduct.nameKo, ..
-
aws 기초 네트워크 설정하기 - 1infra 2023. 2. 21. 16:08
인프라 구축 목표 아래 이미지는 aws 구축 시나리오 중 case 2 - 용어 정리 vpc : 사설망을 클라우드에 맞게 가상으로 생성한다 vpc의 규격 - 10.0.0.0 ~ 10.255.255.255(10/8 prefix) - 172.16.0.0 ~ 172.31.255.255(182.16/12 prefix) - 192.168.0.0 ~ 192.168.255.255(192.168/16 prefix) subnet : vpc아래에서 주소를 분할해줌 가용영역 : 논리적으로 격리된 영역, 물리적인 사고에도 하나가 터지면 나머지 하나가 실행하게 하는 고 가용성의 의미를 지닌다 nat gateway : 인스턴스가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이 가능하게 하지만 외부에서 인스턴스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서비스 nat ins..